지난해 집값 급락으로 3년 전 시세로 돌아간 서울 아파트가 잇따른다. 8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일대가 미세먼지로 뿌옇다.
경기도 하남시에 사는 이모(40)씨는 직장과 가까운 서울 마포구로 이사하기 위해 요즘 마포구 아파트 시세를 유심히 보고 있다. 공덕동 공덕래미안4차 59㎡(이하 전용면적) 급매물은 9억원대다. 약 1년 전 14억7500만원에 팔린 아파트다. 이씨는 “공덕·아현동 아파트가 2019년 말 가격까지 내려왔다”며 “예상보다 집값 하락폭이 크고 하락 속도도 빠른 것 같아 조금 더 지켜본 후 매수 시점을 잡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가파른 집값 하락에 3년 전 시세로 돌아간 서울 아파트가 속출하고 있다. 2020~21년 상승분을 반납하며 코로나19 사태 이전 시세로 회귀한 것이다. 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6단지 83㎡는 지난해 12월 19억원에 팔렸다. 지난 2021년 7월 최고가(28억5000만원)보다 10억원 가까이 낮은 금액으로, 2019년 11월 수준이다. 송파구 잠실동 레이크팰리스 59㎡도 지난달 14억원에 손바뀜했다. 직전 최고가보다 6억원 넘게 빠지며 2019년 8월 가격대까지 밀렸다.
강북 뉴타운 아파트도 상황은 비슷했다. 최근 마포구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 59㎡는 직전 최고가보다 6억원 싼 11억원에 거래됐다. 2019년 7월 가격과 비슷해졌다. 동대문구 전농동 래미안크레시티 84㎡도 지난해 12월 10억5000만원에 팔려 2019년 12월 수준까지 떨어졌다.
2020년 초에서 2021년 10월까지 집값이 급등한 건 ‘금리인하+정책부작용’ 때문이다. 정부는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금리를 낮췄고 주택시장으로 돈이 몰렸다. 가계부문 통화량 증가폭이 2020년 8%, 2021년 9%로 2009년(9%)이후 가장 컸다. 게다가 2020년 ‘임대차3법’이 시행되면서 전셋값이 급등했고, 투자 목적으로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급증했다. 서울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는 2020년 22.5%, 21년 13.2% 뛰었다. 시중은행의 한 PB는 “2021년 10월 최고점 대비 30% 가량 아파트값이 떨어진 것으로 보면 된다”며 “코로나가 불러온 거품은 상당 부분 꺼졌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