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은 앞으로 음식점 마트 등 소매점에서 술을 공급가보다 낮게 할인해서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밝혔다.
앞으로 마트와 편의점 뿐만 아니라 음식점에서도 주류 가격을 자율적으로 정해 판매할 수 있게 됐다. 정부가 최근 ‘주류 소매업자는 주류를 구입가격보다 낮은 가격을 할인해 판매할 수 있다’는 유권해석을 내놓으면서다. 소매업체 간 자율 경쟁을 통해 주류 가격 인하를 끌어내 내수를 진작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이제 식당이 도매상으로부터 소주 1병을 1,500원에 사면 이보다 낮은 가격에 다시 소비자에 팔 수 있다는 얘기다. 맥주는 2,000원 기준이다.
정부의 이번 조치에 따라 할인 행사 등 다양한 마케팅이 가능해진 만큼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 대형 유통업체들을 중심으로 할인판매가 가능해져 주류 매출 증가가 기대된다. 소비자들 역시 저렴한 가격에 주류구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하지만 녹록지 않은 경영환경 속 주류 수익으로 근근이 버텨오던 음식점들엔 사실상 실효성 없는 조치란 지적도 나오는 상황이다.
국세청 입장으로는
주류 할인을 유도해 물가 상승 부담을 완화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따른 것이라며 “업체들의 자유로운 경쟁을 통해 주류 가격이 낮아지고, 소비자들의 편익이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물가 인상으로 소주 1병당 소매가가 6,000원까지 오르며 ‘술플레이션’이라는 말까지 나온 상황인지라 이 소식을 누리꾼들에게 환영받을 것이라 예상됐다.
시민들의 반응은 양분됐다. 찬성입장은
“안 그래도 식당에서 술 시키기 너무 부담스러웠는데 반가운 소식입니다”, “술을 즐기진 않지만 이렇게 물가를 내리는 노력 환영이다”, “술을 부담없이 주문할 수 있다면 안주도 많이 시킬 테니 식당에겐 좋은 일이네요”라며 할인 정책을 반겼다
반대입장은
쌀, 밀가루도 아니고 술을 내려? 우민화 정책인가, “나라 수장님이 술을 그렇게 좋아하셔서 다른 거 다 제치고 술부터 싸게 마시게 하네”, “다른 식자재값이 천정부지로 올랐는데 술 퍼먹고 살란 말인가”, “음주로 벌어지는 사회적인 피해가 엄청난데 왜 술값을 내리는지요?” 등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쳤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