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또 올랐습니다.
오늘은 무려 0.50% 포인트가 올라 3%를 찍어 버렸습니다...
한국은행이 뛰는 물가와 환율을 잡기 위해 결국 3달 만에 다시 '빅스텝'을 밟은것인데요
이로서 기준금리는 3%가 되었고 자이언트 스텝을 밟고있는 미국과 0.25% 포인트 차이로 좁혀졌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2일 오전 9시부터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2.50%인 기준금리를 3.00%로 0.50%포인트 인상한다고 발표 했습니다. 후덜덜 소오름...
3%대 금리는 10년만이다...
지금의 3%대 기준금리는 2012년 10월 이후 자그마치 10년 만에 맞이하는 3%대인데요
4월과 5월, 그리고 7월과 8월에 이은 10월까지... 무려 5차례 연속 인상이 되는것입니다.
이 5차례 연속인상에 0.50% 빅스텝은 한국은행 역사상 역대 최초 기록이라고 일컬어집니다.
금통위가 처음에 "0.25%포인트씩 점진적으로 인상하겠다"라는 사전예고 지침(포워드가이던스)을 냈었는데요. 이번달 이 지침을 보란듯이 파기하고, 오늘 역대 2번째 빅스텝에 나선 것은 왜일까요.
아마도 아직 물가 오름세가 꺾이는것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 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보여집니다.
그도 그럴것이 9월 소비자물가지수(108.93)는 작년 같은 달보다 5.6% 오른 상황인데요,
상승률이 8월(5.7%)에 이어 미세하게 낮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5% 중반대 인것은 변함이 없습니다.
앞으로 1년의 물가 상승률 전망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일반인)도 9월 4.2%로 2개월째 내림세지만, 7월 역대 최고 기록(4.7%) 이후 석 달 연속 4%대를 유지하고 있는 중입니다.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기대보다 적게 하락해 빅 스텝의 확률이 더 높아졌다고 생각한다"고 말한바가 있는데, 결과적으로 그대로 실행이 된 셈이네요.
또한 한국과 미국 간 기준금리 격차 확대와 이에 따른 환율·물가의 추가 상승 위험도 빅 스텝 결정의 주요 배경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빅 스텝 직전까지 한국(2.50%)과 미국(3.00∼3.25%)의 기준금리(정책금리) 격차는 최대 0.75%포인트였는데, 만약 한국이 예정대로 베이비스텝(0.25%포인트 인상)만 밟았다면, 11월 초 연준이 예상대로 네 번째 자이언트 스텝에 나설 경우 두 나라의 금리 차이가 1.25%포인트(미국 3.75∼4.00%·한국 2.75%)까지 커질 수 있었기 때문에 0.5% 인상은 어쩔수 없다는 의견도 있는 상황입니다.
1.25%포인트는 역대 최대 한미 금리 역전 폭(1996년 6월∼2001년 3월 역전 당시 1.50%포인트)에 근접한 수준으로, 더 높은 수익률을 쫒아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원달러 환율 상승) 가능성이 사상 그 어느 때보다 커진다는 뜻이라고 하네요.
한편 한미 금리 격차가 벌어지면서 환율이 더 뛰면 어렵게 정점을 찍고 하락세로 돌아선 인플레이션도 다시 들썩거릴수가 있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원화 가치가 떨어질수록 같은 수입 제품의 원화환산 가격은 높아지기 때문인데요
자이언트고 베이비고 간에 이제 조금 쉬었다 가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강하게 드는 오늘입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댓글